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의 테이블이란
테이블은 관계
행은 튜플, 레코드
열은 속성, 필드
행과 열
행=row
- 저장하려는 하나의 개체
열=column
- 저장하려는 각각 개체의 이름과 공동특성을 정의
RDBMS에서의 키(Key)
테이블을 구성하는 여러 열 중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 하나 또는 여러 열의 조합을 의미
- 기본키(PK)
- 중복되지 않는 값들 중, 개인 정보 노출이 가장 적은 데이터를 선정 (Ex. 주민등록번호와 학번 중에서는 학번) - 보조키
- 대체키라고도 부르며, 후보키에 속해 있는 키. 기본키로 지정되지 않은 열. 후보키인 주민등록번호, 학번, 아이디 중에서 기본키인 학번을 제외한 아이디, 주민등록번호 - 외래키
- 해당 테이블에 포함된 열 중에서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로 지정된 키 - 복합키
- 여러 열을 조합하여 기본키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든 키 (Ex. 과목코드 + 담당교수 + 수업 시간)
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특징
주요 자료형
VARCHAR2: 가변 길이 문자열 데이터
NUMBER: 숫자
DATE: 날짜 형식
PL/SQL
Procedutral Language extension to SQL
복잡한 기능이 필요할 때 기존 SQL만으로 한계가 있을 때 사용하는 언어. 오라클 데이터베이스가 별도로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언어. PL/SQL을 사용하면 변수, 조건문, 반복문 등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는 요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.
'BackEnd > DB, 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QL 3편: 함수의 종류(단일행 함수, 다중행 함수) (0) | 2021.12.27 |
---|---|
SQL 2편: WHERE절과 연산자(논리, 산술, 비교, NOT, IN,BETWEEN, LIKE, IS NULL, 집합 연산자), 연산자의 우선순위 (0) | 2021.12.17 |
SQL 1편: SELECT문 (0) | 2021.12.17 |
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/SCOTT 계정 설정하기 (0) | 2021.12.15 |
데이터베이스란? (0) | 2021.12.0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