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BackEnd/DB, SQL

관계형 데이터베이스

by summer_light 2021. 12. 2.

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의 테이블이란

테이블관계 

튜플, 레코드

속성, 필드 

 

 

 

행과 열 

행=row

- 저장하려는 하나의 개체

 

열=column

- 저장하려는 각각 개체의 이름과 공동특성을 정의

 

 

 

RDBMS에서의 키(Key)

테이블을 구성하는 여러 열 중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 하나 또는 여러 열의 조합을 의미 

  1. 기본키(PK)
    - 중복되지 않는 값들 중, 개인 정보 노출이 가장 적은 데이터를 선정 (Ex. 주민등록번호와 학번 중에서는 학번)
  2. 보조키
    - 대체키라고도 부르며, 후보키에 속해 있는 키. 기본키로 지정되지 않은 열. 후보키인 주민등록번호, 학번, 아이디 중에서 기본키인 학번을 제외한 아이디, 주민등록번호

  3. 외래키
    - 해당 테이블에 포함된 열 중에서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로 지정된 키 

  4. 복합키
    - 여러 열을 조합하여 기본키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든 키 (Ex. 과목코드 + 담당교수 + 수업 시간) 

 

 

 

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특징 

주요 자료형

VARCHAR2: 가변 길이 문자열 데이터 

NUMBER: 숫자 

DATE: 날짜 형식

 

PL/SQL

Procedutral Language extension to SQL

복잡한 기능이 필요할 때 기존 SQL만으로 한계가 있을 때 사용하는 언어. 오라클 데이터베이스가 별도로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언어. PL/SQL을 사용하면 변수, 조건문, 반복문 등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는 요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. 

댓글